인스타그램 광고 방법 성과본 이야기


먼저 기본적으로 인스타그램 광고 방법 중 세팅하는 방법은 아래 글을 클릭하면 자세히 나와있으니 따라서 하시면 바로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인스타그램 스폰서 광고 하는 방법

인스타그램 광고비 청구되는 날과 영수증 보는법



오늘 이야기 할 인스타그램 광고 방법은 무조건 적으로 인스타 광고를 하려고 하는 분들에게 드리는 말씀이다. 아래 글을 읽고 자신의 아이템이 인스타 광고로 성과를 볼 수 있는지 정리해보면 좋을 것 같다.



'너가 뭔데?' 라고 하신다면 아래글을 클릭



스마팅 자기소개 (짧은 인생소개)



당연히 날고기는 사람들에 비해 경험이 많지 않지만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몇천만원 광고를 돌리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적어보려한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이나 블로그나 카페나 모든 마케팅에서 '아이템'은 정말 중요하고, 본질이라 생각한다.



아이템 자체가 너무 구리면 아무리 마케팅에 돈을 쏟아부어봐야 손해다.





인스타그램 광고 방법을 보기전에 먼저 자신의 아이템이 이에 해당하는지 보면 좋을 것 같다.



1. 기존에 없던 제품인가

2. 기존에 있던 제품보다 특이한가

3. 셀링 포인트가 확실한가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하면서 인스타광고로 성과를 많이 봤던 제품이 있다. 지금은 공장과 어떤 문제로 판매하고 있지 않지만 일 1~3만원 정도를 쓰고 일 매출 60만원 정도를 냈던 적이 있다.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까지 1달정도 돌린 광고



여기 이미지는 굉장히 일부다. 광고관리자 들어가보면 수많은 캠페인들과 캠페인안에 그룹들이 정말 많다.



한가지 제품을 인스타그램으로 마케팅 할 때 최소한 100개 정도의 컨텐츠로 테스트하고 성과가 나오는걸 찾아내고 성과가 나오는 컨텐츠에 광고비를 계속 붙였었다.






광고비를 올릴 수록 스마트스토어에 매출이 쭉쭉 올라갔었는데, 당시 하던 제품은 위탁판매 제품이기도 했고 스토어를 한지 얼마 안됐을때라 마진을 너무 단순무식하게 계산했었다.



그냥 판매가 - 원가 - 수수료 하고 남은 금액은 전부 순익이 되는 줄 알았다..



혹시 초보이신 분들 중에 저렇게 계산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그 계산법에서 '원가'를 또 빼봐야 한다. 그래야 순익이 어느정도 되는지 보인다.

 


마진 이야기는 나중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인스타그램 광고 방법을 알기 전 제품이 통할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만약 누구나가 다 파는 종이컵, 마우스패드, 양말, 옷을 팔고있다면 하지 마시길 추천드린다.

 


제품 자체에 셀링 포인트(특이점)가 없으면 유입은 만들어낼 수 있어도 구매가 일어나지 않는다.





내가 성과를 본 아이템



여기서 아이템을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확실히 차별성 자체가 있는 제품이 성과가 나왔었다.



그때 그 제품은 많은 사람들이 지금껏 들어본적이 없었거나, 살아가면서 도움이 될 만한 아이템이였는데 이 아이템이 국내시장에서 아예 없어서 관련된 국내공장에 다 연락해서 대표와 미팅을 하고 왜 이상품이 잘 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서 계속 이야기하면서 설득했었다.



검색량 1만~2만건 사이였고, 경쟁사가 국내에 하나도 없었다.



나는 당시에 제품을 새로 만드는데 그렇게 많은 돈이 드는 줄 몰랐다. 사출, 금형비 등등 해서 한 제품을 만들려면 3천만원이 있어야 한다고 했지만 당시는 일반 직장인이였고 버는 금액의 나머지는 모두 스마트스토어에 투입했기에 당연히 나는 돈이 없었다.



내 이야기를 듣던 공장 대표는 자신이 만들테니 잘만 팔아달라고 했었고 그렇게 위탁판매로 진행하기로 했었다.



그렇게 내가 지금도 하고 있는 여러 마케팅과 함께 인스타그램 마케팅을 진행했었고 그 한개의 아이템으로 월 매출 1,500~2,000만원 정도를 만들었었다.





무조건 국내에 경쟁자가 없거나, 정말 특이한 아이템만이 효과가 나온다는 말은 아니다. 그런 아이템이 훨씬 유리하다는 말이다.



셀링 포인트가 없어도 잘 하는 곳들이 있던데?



맞다. 셀링 포인트가 없어도 잘 하는 곳들이 있다. '영상제작'을 하고 광고를 하거나 같은 제품이라도 '셀링포인트' 자체를 만드는 곳이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무X'라는 업체는 미디어를 중심으로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서 활발하게 광고를 한다. 저곳에서 만드는 영상을 보고 '뭐야 별거 아니네?' 라고 할 수 있지만 실제로 해보면 다르다. (물론 영상을 다루는 분은 제외다.)





쉽게 만들 수 있을거 같지만 절대 그렇지가 않다. 편집스킬도 있어야 하고 영상을 찍으려면 많은 소품도 필요하고 사람도 필요하고 시간도 필요하다.



이렇게 영상으로 잘하는 곳들도 자세히 보면 하나의 영상만 광고를 하는게 아니다. 한가지 제품에 수십개의 영상을 만들어서 그 영상들의 타겟을 다 다르게 해서 성과가 나오는 영상과 타겟을 찾는다.



내가 영상쪽은 포기한 이유다. 하나 찍는 것도 하루 종일 투자해도 힘든데 수십개는 헬 난이도다..



전문가한테 맡겨보려고 알아보기도 했었는데 아무리 못하고 못해도 영상 1개에 100만원은 든다. 그 영상이 얼마나 성과가 나올지도 모르는데 투자하기에는 너무 큰 액수였다.





셀링포인트 자체를 만드는 곳들은 같은 제품이라도 다르게 포장하는 걸 잘한다. 대표적으로 마약매트리스와 마약베개가 있다. 전에 나도 마약베개를 팔려고 여러 공장들을 다녔었는데 공장 대표님들 말씀으로는 이미 예~전부터 나와있던 제품이라고 했었다.



어떤 사람은 같은 제품을 봐도 '그냥 베개네.'하지만 누군가는 베개 안에 있는 작은 알갱이를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베개 사이에 계란을 놓고 밟아도 깨지지 않는 걸 보여주고 마약베개라고 이름을 지어서 판매하려고 한다.





제품 자체가 완전 특이하지 않아도 되지만 인스타그램 광고 방법을 알기전에 내가 판매하고 있는 제품의 어떤걸 보여줘서 잠재고객을 끌어들일지 먼저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다.



내가 성과를 보았던 아이템은 일1~3만원 정도를 투자해서 일매출 60만원 정도를 냈었다. 그리고 다른 제품도 다 이정도는 나올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아이템 차별화가 없다보니 유입당 비용은 100원대가 나오는데 결제가 일어나지 않았었다.





다른 방법은 없나?



셀링포인트가 없다면 컨텐츠로 승부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렇게 추천하지 않는다.



내가 능력이 없어서 그런것일 수 있지만 하나의 제품을 200개 정도의 컨텐츠를 만들고 여러 타겟설정을 하고 광고를 돌린적이 있었다.



하다보면 CPC(클릭당 비용)가 낮은 게 나오는데 이걸 하루 1~2만원 정도로 돌려봤었는데 유입은 하루 100~200명 정도씩 들어오는데 결제가 잘 안일어났었다. (클릭당 비용 대략 100원)





'상세페이지가 구린거 아니야?' 라고 할 수 있지만 해당 제품의 다른 마케팅 채널로 유입해서 결제되는 구매전환율은 5~10%로 나쁘지 않다.



하다보면 터질 수도 있겠지만 포인트가 없는 아이템을 수백개 컨텐츠를 만들어서 해보는건 추천하지 않는다. 너무 많은 시간과 돈이 들어간다..



결론



제품의 셀링 포인트를 찾아보고 있으면 최소한 100개정도의 컨텐츠는 만들 생각하고 해보시면 성과가 나올거다.



그리고 스마트스토어가 픽셀을 심기에 힘들기에 자사몰이 있는 분들에게 추천한다.



인스타 광고를 하시기전에 나의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란다.



스마트스토어를 하신다면 도움이 될 칼럼



스토어팜 광고 할 수 있는건 굉장히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