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를 다니면서 스마트스토어 창업을 했었고 당시에 100만원이 안되는 비용으로 창업했지만 돈이 아예없이, 0원으로도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무자본으로 하는 방법을 큰틀로 보게되면 위탁판매 -> 사입판매로 넘어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위탁판매란?
주문이 들어오면 발주서를 생산공장이나 도매처에 넘기고, 그곳에서 알아서 배송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위탁판매를 하게되면 내가 제품을 먼저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사입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0원으로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위탁판매는 포장을 직접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고, 전체적으로 쇼핑몰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감을 잡기에 좋습니다.
그래서 초기 사업자분들 또는 투잡으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고 있고요.
위탁판매의 정산 방식은 생산공장이나 도매처마다 다르겠지만 나의 경우는 2주에 한번씩 정산을 했었습니다.
스마트스토어에서 매출이 일어나게 되면 그 매출액이 통장에 들어오고 그 중 일부인 제품원가를 생산공장에 줬었습니다.
내가 위탁판매 했던 제품은 그래서 초기비용이 들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위탁판매로 수익이 일어나게 되고 쌓이면 사입판매로 넘어갑니다.

사입판매란?
위탁판매와 다르게 제품을 먼저 구매해서 창고에 쌓아놓고 직접 배송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이때는 포장하는데 시간이 들어가게 되지만 위탁보다는 제품을 더 싸게 떼올 수 있습니다.
더 싼 이유는
1. 대량으로 구매할 수록 가격이 낮아지기 때문.
2. 공장 또는 도매처에서 인건비가 들지 않기 때문.
- 공장측에서는 어쨌든 위탁으로 하게되면 포장을 해야하는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와 함께 제품을 쌓아놓을 창고 운영비가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위탁이 비싸죠.
3. 생산공장과 직접거래하면 도매처의 중간마진이 없어지기 때문.

사입으로 전환을 하게되면 일단 리스크가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처음부터 잘 팔릴지 안팔릴지 모르는 상태에서 대량으로 사입을 해오는 건 스마트스토어 사업자에게는 그 리스크가 큽니다.
특히나 초보분들에게는 더더욱 크죠.
하지만 위탁을 하면서 판매가 잘 일어난 제품을 싸게 사입을 해온다면 당연히 그 리스크는 줄어들게 됩니다.

실제로 팔리는걸 경험했기 때문에 대량으로 사입을 해도 어느정도 팔릴걸 예상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품의 원가도 낮아지기 때문에 마진 역시 올라가게 돼죠.
저는 100만원이 안되는 비용으로 스마트스토어 창업을 했지만 월 4,000만원 정도의 매출까지 이런 과정을 계속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도 신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먼저 생산공장이나 도매처를 찾고 소량으로 사입해오고 있는데 소량으로 사입을 하면 당연히 대량으로 사입했을때보다 비쌉니다.
그럼에도 소량으로 물건을 떼옵니다. 마진이 남지 않더라도요.
어쩔때는 손해를 보더라도 일딴 떼옵니다.

그 이유는 저의 판단이 옳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 창업 초기에 제대로 분석도 하지 않고 대량사입을 했다가 돈을 날린적이 꽤나 많습니다.
그래서 마진이 남지 않더라도 소량으로 떼오고 일단 판매를 해보고 판매가 잘 이루어지면 그때 대량으로 사입을 해옵니다.
만약 생각보다 이익이 잘 나지 않는 제품이라면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에 원가비 그대로 팔거나 조금 더 금액을 붙여 팔아서 투자했던 비용을 최대한 회수합니다.

생각이상으로 잘 팔린다면 그때는 대량으로 사입해서 판매를 합니다.
꼭 쇼핑몰이 아니더라도 초기자본없이 창업은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본없이 한다면 돈이 들지 않는대신 시간이 좀 더 걸리게 되는데 많은 분들이 이 시간이 집니다.
그 이유는 생각했떤 것 만큼 성과가 빨리 나오지 않아서인데 그 생각하는 성과의 기준이 대개는 많이 높습니다.
시작하자마자 월 100, 300을 찍을 수는 없습니다.
성과를 내려면 시간은 당연히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씩 해야할 일을 해나가다보면 분명히 성과가 올라가게 되실겁니다.
직장인을 위한 스마트스토어 월 1,000 버는 법을 강의로 만들었습니다.
https://smating.kr/1000Ebook/?idx=1
회사를 다니면서 스마트스토어 창업을 했었고 당시에 100만원이 안되는 비용으로 창업했지만 돈이 아예없이, 0원으로도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무자본으로 하는 방법을 큰틀로 보게되면 위탁판매 -> 사입판매로 넘어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주문이 들어오면 발주서를 생산공장이나 도매처에 넘기고, 그곳에서 알아서 배송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위탁판매를 하게되면 내가 제품을 먼저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초기 사입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0원으로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위탁판매는 포장을 직접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고, 전체적으로 쇼핑몰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감을 잡기에 좋습니다.
그래서 초기 사업자분들 또는 투잡으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고 있고요.
위탁판매의 정산 방식은 생산공장이나 도매처마다 다르겠지만 나의 경우는 2주에 한번씩 정산을 했었습니다.
스마트스토어에서 매출이 일어나게 되면 그 매출액이 통장에 들어오고 그 중 일부인 제품원가를 생산공장에 줬었습니다.
내가 위탁판매 했던 제품은 그래서 초기비용이 들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위탁판매로 수익이 일어나게 되고 쌓이면 사입판매로 넘어갑니다.
위탁판매와 다르게 제품을 먼저 구매해서 창고에 쌓아놓고 직접 배송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이때는 포장하는데 시간이 들어가게 되지만 위탁보다는 제품을 더 싸게 떼올 수 있습니다.
더 싼 이유는
1. 대량으로 구매할 수록 가격이 낮아지기 때문.
2. 공장 또는 도매처에서 인건비가 들지 않기 때문.
- 공장측에서는 어쨌든 위탁으로 하게되면 포장을 해야하는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와 함께 제품을 쌓아놓을 창고 운영비가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위탁이 비싸죠.
3. 생산공장과 직접거래하면 도매처의 중간마진이 없어지기 때문.
사입으로 전환을 하게되면 일단 리스크가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처음부터 잘 팔릴지 안팔릴지 모르는 상태에서 대량으로 사입을 해오는 건 스마트스토어 사업자에게는 그 리스크가 큽니다.
특히나 초보분들에게는 더더욱 크죠.
하지만 위탁을 하면서 판매가 잘 일어난 제품을 싸게 사입을 해온다면 당연히 그 리스크는 줄어들게 됩니다.
실제로 팔리는걸 경험했기 때문에 대량으로 사입을 해도 어느정도 팔릴걸 예상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제품의 원가도 낮아지기 때문에 마진 역시 올라가게 돼죠.
저는 100만원이 안되는 비용으로 스마트스토어 창업을 했지만 월 4,000만원 정도의 매출까지 이런 과정을 계속 거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도 신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먼저 생산공장이나 도매처를 찾고 소량으로 사입해오고 있는데 소량으로 사입을 하면 당연히 대량으로 사입했을때보다 비쌉니다.
그럼에도 소량으로 물건을 떼옵니다. 마진이 남지 않더라도요.
어쩔때는 손해를 보더라도 일딴 떼옵니다.
그 이유는 저의 판단이 옳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인데 창업 초기에 제대로 분석도 하지 않고 대량사입을 했다가 돈을 날린적이 꽤나 많습니다.
그래서 마진이 남지 않더라도 소량으로 떼오고 일단 판매를 해보고 판매가 잘 이루어지면 그때 대량으로 사입을 해옵니다.
만약 생각보다 이익이 잘 나지 않는 제품이라면 당근마켓이나 중고나라에 원가비 그대로 팔거나 조금 더 금액을 붙여 팔아서 투자했던 비용을 최대한 회수합니다.
생각이상으로 잘 팔린다면 그때는 대량으로 사입해서 판매를 합니다.
꼭 쇼핑몰이 아니더라도 초기자본없이 창업은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본없이 한다면 돈이 들지 않는대신 시간이 좀 더 걸리게 되는데 많은 분들이 이 시간이 집니다.
그 이유는 생각했떤 것 만큼 성과가 빨리 나오지 않아서인데 그 생각하는 성과의 기준이 대개는 많이 높습니다.
시작하자마자 월 100, 300을 찍을 수는 없습니다.
성과를 내려면 시간은 당연히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하나씩 해야할 일을 해나가다보면 분명히 성과가 올라가게 되실겁니다.
직장인을 위한 스마트스토어 월 1,000 버는 법을 강의로 만들었습니다.
https://smating.kr/1000Ebook/?idx=1